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모스코인 상승 및 모스코인 시세전망

정보바다

by 1@3$&*6$ 2022. 2. 3. 23:06

본문

모스코인 상승 및 모스코인 시세전망

모스코인-상승요인

모스코인(Mosscoin)은 증강현실(AR) 모노폴리 게임인 모스랜드(Mossland)에서 사용되는 암호화폐이다.

 

모스코인의 화폐 단위는 MOC이다. 이더리움 기반의 ERC-20 토큰이다.

 

리얼리티 리플렉션(Reality Reflection) 회사가 개발했다. 주요 인물은 손우람 대표와 노정석 이사이다.

 

2018년 1월 29일 밤 10시부터 모스코인에 대한 ICO 프리세일을 진행하여 38분만에 목표 금액을 모금하여 마감되었다.

 

2018년 10월 16일 진행된 모스랜드 더 옥션이라는 가상 건물 경매 서비스에서 미국의 엠파이어스테이트빌딩이 5,500만원, 한국의 광화문이 4,000만원에 경매를 통해 판매되었다.

 

모스랜드는 이날 총 26시간 동안 진행된 경매를 통해 450만 모스코인을 판매했으며, 이는 당시 코인 시세로 환산하면 약 2억 2천만원에 이르는 금액이다.

 

모스랜드의 가상 건물 경매가 성공적으로 진행되면서, 고팍스 거래소에 상장된 모스코인의 가격이 40원에서 80원으로 급등했다.

 

모스랜드 측은 매주 2회 새로운 랜드마크를 경매에 붙일 예정이며, 전 세계 총 250개 건물에 대해 경매를 실시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모스코인의 어드바이저로 코빗 거래소 공동 창업자인 김진화 이사와 ㈜카카오의 자회사인 그라운드엑스의 한재선 대표 등이 있다.

 

모스코인은 현실의 부동산을 소재로 하는 위치 기반, 증강현실 모바일 게임 서비스인 모스랜드(Mossland)에 쓰이는 암호화폐이다.

 

모스코인은 현금을 모스랜드 게임 안에서 쓸 수 있는 화폐로 변환하는 매개체이다. 모스랜드는 모스코인을 비롯해 3종류의 화폐를 운용하여, 이것으로 게임 내 자산을 사고팔 수 있다.

 

모스랜드는 처음 기존의 게임 형태로 서비스가 구축된 후 게임에 알맞은 블록체인 기술이 개발되면, 게임 자산의 소유권을 블록체인 위로 옮길 예정이다.

 

모스랜드는 2019년 4분기에 개발 완료를 목표로 하고 있다. 코인마켓캡에 따르면, 2018년 11월 28일 기준 모스코인의 시가총액은 약 8백 7십만 달러로 256위에 해당한다. 총 공급량은 5억 개이며, 현재 유통되는 양은 약 2억 5백만 개다.

 

모스코인(MossCoin)은 이더리움 플랫폼 기반의 암호화폐이다.

 

모스코인은 프리 세일 기준 1MOC당 0.0001ETH와 교환되었다. 모스코인은 모스랜드에서 모스(Moss)와 교환하는 용도로 쓰인다.

 

사용자들은 게임 내 모스를 충전하기 위해 모스코인을 거래소에서 구매할 수 있다. 구매한 모스코인은 게임 사이트를 통해 모스로 환전할 수 있고, 환전 시 사용한 모스코인은 운영사의 지갑에 보관된다.

 

운영사는 환전하고 받은 모스코인을 보관하고 있다가 인출을 원하는 사용자에게 지급한다.

 

획득 경로와 관계없이 모든 모스는 모스코인으로 교환이 가능하며, 인출한 모스코인은 상장된 거래소에서 다른 암호화폐나 현금으로 환전할 수 있다. 모스코인의 배분 비율은 차트와 같다.

 

온라인게임이 대중적으로 유명해 지면서 게임 내 자산인 아이템을 거래하고자 하는 니즈가 높아졌다.

 

점점 게임 아이템을 자산 가치가 있는 가상 자산으로 보는 시각이 늘어나지만, 아직 이것을 사행성 도박으로 보고 규제하는 국가가 많다.

 

이렇듯 국가에 따라 아이템 거래가 허용되거나 규제되지만, 시장 자체는 성장 가능성이 매우 크고 매력적이다.

 

이런 시장 상황에서 블록체인 기반의 아이템 거래 방식이 판도를 바꿀 수 있다. 암호화폐 특성상 화폐의 발행 국가라는 개념이 없고, 현금 인출은 암호화폐 소지자의 법적 책임 내에서 이루어지기 때문이다.

 

암호화폐라는 매개체를 통해 아이템을 거래하면 국경 없는 글로벌 접근도 가능하다는 전망이다.

 

모스랜드는 2018년 4월, 퀀텀과의 파트너십을 발표하였다.

 

협약을 통해 기술 및 비즈니스 측면에서 전략적 제휴를 맺고, 퀀텀 블록체인에서 AR/VR을 대표하는 모바일 디앱으로 생태계 구축을 나선다고 하였다.

 

또한 7월에는 블록체인 게임 개발을 위한 SDK를 제공하는 룸네트워크와 파트너십을 체결하였다.

 

모스랜드는 룸네트워크와의 협력을 통해 개발자들을 위한 실질적인 블록체인 솔루션을 제공할 수 있을 것이라고 전했다.

 

8월에는 모바일 월렛 개발사인 루트원소프트(RootOne)과 파트너십을 맺었다. 높은 수준의 UX를 제공하는 루트원소프트의 모바일 월렛 기능으로 사용자에게 편의성을 더할 예정이다

 

백서에 따르면 모스랜드는 2018년 이내에 알파 빌드의 개발을 완료하고, 2019년 1분기에 클로즈 베타 테스트를 실시하여, 서비스 완성도를 높일 예정이다.

 

다음 2019년 2분기에는 테스트 국가를 하나 선정하여 소프트 런칭 방식으로 출시하고, 게임의 기술이나 기획적인 보완을 한다.

 

모스랜드는 이 과정을 걸쳐 2019년 이내에 전 세계 동시 정식 출시를 목표로 하고 있다.

 

 

반응형

관련글 더보기

댓글 영역